본문 바로가기

다항식 - 4 1. 교대식의 인수분해 (1) 교대식의 성질 다항식에 포함된 임의의 두 문자를 서로 바꿔 쓸 때, 식의 형태는 같지만, 그 식 전체의 부호는 반대가 되는 식. ※ f(x, y, z) = -f(y, x, z) = -f(x, z, y) = -f(z, y, x) - f(x , y, z)는 x-y, y-z, x-z를 인수로 갖는다. (2) 대칭식의 성질 다항식에 포함된 임의의 두 문자를 서로 바꿔 쓰더라도 의미가 변하지 않는 식. 특히, 차수가 모두 같은 항으로 이루어진 대칭식을 동차대칭식이라고 한다. ※ f(x, y, z) = f(y, x, z) = f(x, z, y) = f(z, y, x) - 1차 동차대칭식 : k(x + y + z) - 2차 동차대칭식 : k(x² + y² + z²) + l(xy + yz.. 더보기
CHAPTER02 - C언어 기반의 C++ CHAPTER 02의 시작에 앞서 - 상수(const)의 의미 => const int num = 10; // 변수 num을 상수화 => const int *ptr1 = &val1; // 포인터 ptr을 통해 val1의 값을 변경할 수 없으나, 다른 변수의 주소 저장 가능 => int const *ptr1 = &val1; // 포인터 변수 ptr을 상수화 => const int const *ptr1 = &val1; // 위의 두 가지 특성을 다 가진다. 1. 새로운 자료형 bool C언어에서는 별도로 매크로 상수로 지정해 주지만, C++에서는 'true'와 'false'가 존재한다. 위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자료형을 'bool' 이라고 한다. int, double과 같은 기본자료형의 하나이기 때문에 다.. 더보기
CHAPTER01 - C언어 기반의 C++ C++은 C언어를 포함한다. 때문에 C로 작성된 대부분의 프로그램은 C++ 컴파일러로도 컴파일이 가능하다. 그러나 C++은 C언어가 지니지 않는 문법적 특성도 제법 지니고 있다. 1. 헤더파일 선언문 #include C언어와 똑같이 헤더파일의 확장자는 .h이지만 C++에서는 표준 헤더파일의 선언에는 확장자를 생략하기로 약속되어 있다. 2. 입력과 출력 C언어에서는 서식문자를 통해 별도의 출력 및 입력 포맷을 지정해줘야 하지만 C++에서는 데이터의 타입에 따라 적절하게 동작하므로 더 편리하다. ( 문자열의 경우도 똑같다. ) 3. C++의 지역변수 선언 C의 경우 무조건 함수의 가장 처음 부분에 정의되어 있어야 하지만, C++의 경우 지역변수 선언은 함수 내 어디든지 가능하다. 4. 함수 오버로딩(Func.. 더보기